본문 바로가기
시경 시경: 작가미상 중국 고대인의 생활상을 노래한 중국최초의 시가집. 공자에 의해 편찬되었다고 알려져 있는 이 책은 중국 각 지역의 민요와 조정의 연회 및 제사시 불리어지던 노래의 가사를 수록하고 있다.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문학뿐 아니라 중국사회 전반에 걸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시가집이다. 현존하는 은 한나라 모공이 전하는 이며 음악의 성질에 따라 의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고대 중국의 문물제도 및 당시 중국인의 사유형태를 관찰할 수 있다. 의 성립 은주왕조 건국 초기(BC 1122년경)부터 춘추 중기(BC 570경)까지의 약 500년간에 걸쳐 황하를 중심으로 한 주의 영역 내에서 불리던 시가를 모은 중국 최초의 시가집이다. 중국역사상 은대는 문명의 시원기라고 한다. 그런데 1898년.. 2020. 4. 23.
상록수 :작가: 심훈(심훈, 1901 - 1936) 일제치하의 암울한 농촌현실 및 이 상황을 깨치고 나아가려는 젊은이들의 민족의식과 저항정신을 보여주는 이 장편은 (1935. 9. 10 - 1936. 2. 15)에 연재되었다. 이 작품은 가상의 인물이 아닌 실제인물을 모델로 하여 지식인의 귀농 모티브를 중심으로 당시 농촌의 비참한 실상을 보여주면서 농촌계몽의 필요성을 역설한 대표적인 농촌소설이다. 여주인공 채영신의 기독교적 희생정신과 남주인공 박동혁의 농촌개혁 의지가 민족애로 결정된 심훈의 는 이 작품의 짝으로 평가된 이광수의 과는 달리 당대의 현실에 대한 투쟁의지와 저항정신을 담고 있기도 하다. 생애와 작품활동 운동의 교재와 같은 소설 의 작가 심훈은 서울출신으로 경성 제일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31운동에 참가.. 2020. 4. 23.
고향 고향: 작가: 이기영(이기영, 1896 - 1984) 식민지시대 최고의 리얼리즘 소설로까지 평가받는 은 이광수의 , 심훈의 와 같은 농촌계몽소설이긴 하나, 전자들이 보수적중도적 성향인 데 비해 은 사회주의적인 농민운동의 교범으로 간주된다. 이 소설은 일제치하에서 다중의 억압을 받고 있는 한국농민들의 고통스러운 삶의 모습과 투쟁상을 그려보이고 있다. 그리고 지식인과 민중의 연대, 농민 분해과정, 공동체의 논리 등의 문제에 대해서도 눈을 뜰 수 있게 된다. 생애와 작품활동 대표적인 카프 소설가. 호는 민촌. 충남 아산에서 출생하여 천안 영진학교를 졸업 후 7년 동안 각지를 유랑하다가 논산 영화여자고등학교 교사, 호서은행 서기 등을 지냈다. 1922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의 정칙영어학교를 다니다가 이듬해 광동.. 2020. 4. 23.
삼대 삼대: 작가: 염상섭(염상섭, 1897 - 1963) 자연주의 및 사실주의 문학을 건설한 최초의 작가로 간주되는 염상섭이 쓴 이 작품은 30년대 서울의 보수적인 중인계층 출신으로 중산층 집안의 조씨가의 몰락과정을 그린 대표적 장편으로, 유교 전통사회에서 식민지시대, 근대사회로 변모하던 당시의 현실과 정신사의 이면을 빼어나게 그린 대표적인 가족사 소설이다. 이 소설은 사실적 관찰을 통해 식민지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일상적 삶과 당대 젊은 지식인들의 다양한 초상을 가감없이 보여준다. 생애와 작품활동 는 말을 즐겨했던 염상섭을 두고 라고 안도한 어느 작가의 말처럼 그의 존재는 우리 문학에서 으로 깊이 새겨져 있다. 호는 횡보. 서울에서 태어나 대한제국 중추원 참의를 지낸 바 있는 선조로부터 을 배웠다. 그리.. 2020. 4. 23.
무정 무정: 작가: 이광수(이광수, 1892 - 1950) 1917년 에 연재된 우리 나라 최초의 현대장편소설. 근대문명에 대한 동경, 신문학에 대한 향학열, 자유연애관 등을 주제로 봉건적인 것을 비판, 새 시대 계몽을 꾀한 이상주의자적인 소설로 신소설과 현대소설의 징검다리 구실을 했다. 고전적 여성과 신 여성 사이에서 방황하는 한 젊은 지식인이 민족시대라는 개념에 눈을 뜨기까지의 과정을 그려낸 이 소설에서는 자유연애 관념, 생명중시의 태도, 동서양 비교론, 근대화 방법론 등의 문제를 나름대로 인식하게 된다. 생애와 작품활동 위기에 선 경계선의 작가 이광수, 그만큼 한 인물에 대한 양면적인 평가가 극단적으로 표출되는 경우도 드물 것이다. 어떤 이들은 근대문학의 선구자로서 그의 문학을 높이 평가하고, 어떤 이들.. 2020. 4. 23.
구운몽 : 작가: 김만중(김만중, 1637 - 1692) 인간의 부귀영화가 일장춘몽이라는 주제의 소설로 조선 중기의 문인 김만중이 쓴 소설이다. 육관대사의 제자 성진이 8선녀를 희롱한 죄로 인해 인간계에 양소유로 환생하여 역시 이승으로 환생한 여덟 여인들을 아내로 맞아 부귀공명을 누리다 보니 마침내 그것이 한바탕 허무한 꿈이었음을 깨닫는 내용의 소설로, 조선후기 몰락한 양반들의 회고적인 꿈을 그린 작품이다. 현실과 꿈, 유교와 불교, 천상과 지상의 세계라는 상호 대립적인 세계를 설정하고, 꿈속에서 부귀와 공명을 추구하다가 문득 꿈에서 깨어나는 주인공을 통하여, 인간 역사상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물음인 현실적인 삶의 의미와 초월적인 깨달음의 문제를 진지하게 다루고 있는 고대소설의 전범이다. 생애와 작품활동 서포의 .. 2020.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