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기열전 저자 : 사마천(BC 145?--?) 는 사마천이 이능사건 과 관련하여 죽음보다 수치스런 궁형을 당하면섣 완성한 불멸의 고전이다. 는 자신의 운명을 극복하고 역사정신에 투철했던 한 인간이 빚어낸 인간승리의 결정체다. 이란 중국의 전통적인 역사서술방법인 기전체사서의 효시가 된 중에서 역사적인 인물들에 대한 기록인데, 여기에는 사마천의 역사관.세계관.인간관이 잘 반영되어 있다. 인간과 인간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제반현상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씌어진 은 역사서이자, 인간과 사회에 대한 깊은 철학서이기도 하다. 생 애 서양 역사학의 아버지를 헤로도토라고 한다. 반면에 중국 전한시대 역사가 사마천은 라 불리며, 후반시대의 역사가인 반고와 함께 역사학의 독창적인 경지를 개척한 인물이다. 사마천은 대대로 사관을.. 2020. 4. 22.
한비자 저자: 한비자(BC 280--233) 전국시대의 법가주의사상을 종합하고 이를 사상적으로 체계화한 인물이 바로 한비자다. 법가사상은 3파로 나뉘어진다. 곧 백성을 통치하기 위해서는 이 필요하고(법치주의), 관리를 다스리기 위해서는 이 필요하며(술치주의), 군주에게는 절대적인가 필수적(세치주의)이라고 보는 사상인데, 이는 한비자에 의하여 이론으로 집대성되었다. 주관성이 개입될 수지가 있는 온정적 이물장치를 극력 배격하고, 특히 의 가능성에 주목하여 군주에 의한 관료의 통제술과 객관적이고 엄격한 법치를 통한 군주의 절대공권력의 확보를 말하고 있다. 생애 한비자는 전국시대 한왕 안의 서자로 출생했다. 그의 어머니는 신분이 낮은 출신이었기 때문에 그가 비록 왕족이 었지만 왕실에서 대우받지 못하는 불운한 처지었다... 2020. 4. 22.
순자 저자: 순자(BC 315--236년경) 순자는 라고 불린다. 소크라케스의 사상을 플라톤이 이상주의적으로 계승한 데 반하여 아리스토텔레스는 현실적으로 계승했는데, 마찬가지로 공자의 사상을 맹자가 이상주의적으로 받아들였다면 순자는 현실주의적으로 이어받았다. 성악설에 입각하여 인간의 후천적인 노력을 강조한 순자는 인간이라 근원적으로 사회적 동물로 보았다. 그는 사회적 분업원리를 통한 엘리트 중심의 군주국가체제를 옹호했으며, 인간에 의한 자연의 이용과 지배를 정당화하고 교육과 사회제도의 중요성을 설파함으로써 제자백가의 사상을 비판.종합하여 진한 이후 중국에서 중앙집권적 관료국가의 성립.출현에 기를을 마련했다. 생애 BC 3세기경의 중국사상가.이름은 황.순자는 전국시대 조나라 사람으로 그의 출생 및 생애에 대해서.. 2020. 4. 22.
장자 저자: 장자(BC 365?--290?) 모든 관념과 세상의 속박에서 벗어나 해방된 를 탐색한 장자,당시의 시대적 혼미를 깨우기 위해 제창된 그의 개방주의는 각파 간의 이론적 대립을 해소시키고 철학적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했고, 사람들로 하여금 숨막히고 답답한 속박에서 벗어나 넓고 시원한 세계를 호홉하며 삶을 향유하는 청량제구실을 했다. 우리는 속에서 일체의 전체주의적 권위와 이념적 독단론을 부정하고, 더 나아가 인륜도덕이나 문명의 발전보다는 무한한 우주의 변화 속에서 개성의 해방과 자유추구의 예술적 경지를 맛볼 수 있다. 생애 자기 아내가 죽었을 때 노래를 불렀다는 장자는 중국 전국시대의 사상가로,제자백가 가운데서도 노자의 철학을 발전시킨 도가의 대표자다. 우리는 흔히 유교에서의 공자와 맹자를 도교에서.. 2020. 4. 22.
도덕경 저자: 노자(기원전 6또는 4세기) 이책의 노자이므로 은 로도 불린다. 유가및 제자백가를 비판하고 있는 도가사상의 원전인 에는 우주만상의 변화발전의 총원리로서 의 개념과 개체의 원리인 의 개념이 분명히 제시되어 있다. 서술방식이 대화체나 서술체인 일반적인 중국고전과는 달리 이 은 5천여 자로 된 짧은 철학시집으로 편과 편의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생애 도가사상의 시조, 중국사상사에서 나타난 인물 중 가장 신비성을 지니고 있는 인물이 노자다. 그의 생존연대, 출생,그리고 성명,그의 사상을 담은 에 관한 문제들이 그것이다. 그중에서도 학자들에 의해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은 그의 생존연대와 의 저술연대 및 그 내용에 관한 사실여부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문제삼은 학자들을 살펴본다면 크게 두 방향으로 갈라.. 2020. 4. 22.
중용 저자: 자사(BC 492--432?) 를 제시한 유교의 윤리와 정치를 중시하는 유가사상이 생사의 문제를 밝히는 불교사상이나 무위자연의 도가사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철학적 기반이 약하다는 자기반성과, 간결함을 추구하는 당시 지식인의 취향에 부응하여 주자는 당시 13경이나 되던 유가경전을 4서로 압축했다. 4서 중에서도 은 유교의 사상에 심원한 철학적 근거를 부여하고 흔히 소우주로 불린다. 즉, 우주와 인간의 근본원리를 으로 설명하여 송과 명 이래 성리학의 철학적 기초를 부여한 저서다. 자사와 중용의 유래 중용은 공자의 손자인 자사가 쓴 것으로 전해진다. 사마천이 지은 의 에 라고 했다. 여기에 대해서 학자들은 대체로 긍정하고 있다. 은 원래 과 마찬가지로 중의 한 편(31편)이었으나,보다 앞서 그 가치가 인.. 2020.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