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절의 의의 1. 예절의 의미 예절이란 무리지어 사는 사람들이 약속해 놓은 생활방식이다. 따라 서 예절을 행하지 않는 것은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이다. 예란 관행 성 사회 계약적 생활규범이다. 생활예절은 생활하는 방식을 약속해 놓은 것이고, 가정의례는 가정에서 행하는 의식 절차를 약속해 놓은 것이다. 2. 예절의 목적 사람은 남과 더불어 함께 산다. 남과의 대인관계를 원만히 하려면 서로 약속해 놓은 방식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대인관계란 사람과 사람의 관계이다. 때문에 자기가 먼저 사람이 되어야 한다. 스스로 사람다워지려는 노력을 자기관리라 한다. 예절은 인간으로서의 자기 관리와 사회인으로서의 대인관계를 원만히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것 이다. 사람이 되고 사람 노릇을 해서 사람대접을 받으며 사람과 더불 어 함께 .. 2020. 5. 10.
부티보다 귀티나게 외모에도 신경쓰라 외모도 중요하고 실력도 중요하다. 나는 도덕적 문제와 관련해서는 사람들의 말을 크게 믿지 않는다. “교통신호를 지켜야 한다”고 말은 하지만 실제생활에서는 그렇게 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말과 행동의 이중성이다. 이러한 이중성이 나타나는 것 중의 하나가 “외모는 중요하지 않으며 마음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말은 그렇게 하면서도 외모를 본다. 중국 당나라의 관리선발기준이었고 조선시대의 인재판별기준이라는 신언서판(身言書判)에서도 외모가 첫째 조건이었다. 정신의학에서는 사람을 한가지 면으로 판단하면 미숙(immature)하다고 본다. 그러나 이 세상은 사람을 외모로 판단하는 미숙한 환자들로 가득함을 명심하라. 바비 인형처럼 속이 텅 비어있어도 예쁘면 뜨게 되고, 가상의 인터넷 캐릭터 아바타를 치장하느.. 2020. 5. 2.
가족 가족 관계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관계다. 생산 관계가 인간이 먹고 살기 위해 노동을 해야 한다는 사실에 기초해 있다면, 가족 관계는 인간의 종족이 보존되기 위해 결혼과 자녀 양육을 해야 한다는 사실에 기초해 있다. 생산 관계가 노동과 그 생산 수단 및 생산물의 소유와 분배라는 경제적 관계로서, 생산력의 발전에 기초하고 있다면, 가족 관계는 부부와 부모 자식의 애정과 상호 원조에 기초하고 있다. 애정은 노동과 함께 인류 사회의 가장 근본적인 원동력이다. 사랑은 또한 그 자체가 목적이다. 그리고 그 자체가 목적인 것은 다른 모든 것들이 이를 위해서는 수단이 될 수 있는 그런 것이다.(주1) 사랑은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의 하나다. 남녀간, 부모 자식간의 애정이야말로 인간의 삶의 조건이자 원.. 2020. 4. 28.
자본주의 사회의 노동과 여성 2. 가사 노동 1) 가사 노동이란? 가사 노동하면 흔히 요리, 빨래, 육아 등의 노동을 연상한다. 그런데 요리나 빨래, 육아가 곧 가사 노동은 아니다. 다같이 고추장을 만드는 노동이라도 집에서 하면 가사 노동이지만, 고추장 공장에서 하면 사회적 노동이다. 빨래는 세탁소에서도 하고, 육아는 탁아소나 유치원에서도 한다. 같은 노동도 가사 노동으로 행해지는 경우가 있고, 사회적 노동으로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렇다면 가사 노동은 무엇인가? 가사 노동은 사회적 노동에 대비되는 말이다. 즉 사회적 단위(공장, 회사 등)에서 사회를 향해(다른 사람들의 소비를 위해)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가정에서 가족의 소비를 위해 행해지는 노동을 가리킨다. 가사 노동을 역설적으로 생산의 사회화의 산물이며, 곧 자본주의의 산물.. 2020. 4. 28.
자본주의 사회의 노동과 여성 1. 사회적 노동 자본주의가 가져온 가장 큰 변화는 여성을 사회의 주요한 생산 부문에 끌어들인다는 점이다. 자본주의가 발달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여성이 가정을 벗어나 사회적 노동에 참여한다. 오늘날 여성들이 진출하지 않은 노동 분야는 거의 하나도 없다. 미국에서는 1980 년 현재 노동력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42.5%에 이르렀다. 이는 1950 년의 29.6%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이며, 이 비율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여성 노동자의 비율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 여성들은 사회적 노동에서 각종 차별과 불평등에 시달리고 있다. 차별의 실상과 그것이 어디에서 오는가를 살펴보자. 1) 고용 차별, 노동으로부터의 소외 1979 년에 채택된 유엔 여성 차별 철폐 조약.. 2020. 4. 28.
계급적 지위와 여성 문제 1. 자본가 계급 여성, 황금빛 예속 자본주의는 기본적으로 전래의 성별 분업을 타파한다. 그러나 노동자 계급에 있어서는 결정적으로 붕괴되고 있는 성별 분업이 자본가 계급에 있어서는 아직 완강하게 지켜지고 있다. 노동자 중에서 여성의 비율이 40%에 달하는 반면, 자본가 중에서 여성의 비율이 단지 1.4%에 불과하다는 것이 이를 뒷받침해 준다. 서관모의 연구에 따르면 1985 년 현재 우리나라 경제 활동 인구 중 자본가 계급은 1.4%인 22 만 명에 불과한데, 그 중 여성 자본가는 전체 자본가의 1.4%로 겨우 2천 명에 지나지 않는다.(주1) 사유 재산의 소유와 상속이 가족 관계의 중요한 내용을 이루는 자본가의 가족이야말로 여성이 아직도 고전적인 역할, 즉 상속자를 낳는 역할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 2020. 4. 28.